철학자 시리즈 20편 한나 아렌트 행위, 다원성, 그리고 공론장
인간의 조건: 노동·작업·행위, 다원성과 시작의 힘노동, 작업, 행위, 다원성이라는 네 단어를 먼저 적어 둡니다. 아렌트의 관심은 ‘철학자가 무엇을 아는가’보다 ‘인간이 어떻게 함께 사는가’에 있었습니다. 그녀는 인간의 활동을 세 갈래로 나눕니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반복의 순환을 ‘노동’, 세계에 비교적 오래 남을 인공물의 제작을 ‘작업’, 그리고 타인과 더불어 말하고 시작하며 관계를 새로 짜는 창발을 ‘행위’라 부릅니다. 노동은 필요의 압력에 종속되고, 작업은 도구와 계획의 질서에 의존하지만, 행위는 예측할 수 없는 자유의 공간에서만 가능해집니다. 아렌트는 바로 이 행위에 정치의 본령을 둡니다. 정치는 명령이나 통치 기술이 아니라,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말을 나누고 약속과 결정을 만들어 내는 ‘사이’..
2025. 9. 8.
세기의 철학자 19편 미셸 푸코 권력·지식, 규율, 그리고 자기배려
지식은 어떻게 권력이 되나: 담론, 에피스테메, 진리 체제, 계보학담론, 에피스테메, 진리체제, 계보라는 네 단어를 먼저 적어 둡니다. 푸코의 출발점은 간단합니다. “우리가 ‘사실’이라고 부르는 것은 언제, 어떤 말하기의 규칙 속에서 가능해졌는가?” 그는 지식을 머리 속의 관념이 아니라 담론—무엇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은 말하면 안 되는지, 누가 말할 자격이 있는지, 어떤 절차를 거쳐야 ‘근거’가 되는지—의 네트워크로 보았습니다. 어느 시대의 지식은 우연한 취향이 아니라 그 시대 전체를 관통하는 보이지 않는 바닥 규칙, 곧 에피스테메 위에서 성립합니다. 중세, 고전주의, 근대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물을 분류하고 사람을 바라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푸코는 초기에 이를 “고고학”이라 불렀습니다. 묻혀 있..
2025. 9. 7.